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 다운받기 NW
- fenda634d
- 2020년 12월 5일
- 3분 분량
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 다운받기
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
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
공간 ( 스페이스 ) 마케팅
목차 ( Contents )
1. 공간 (스페이스) 마케팅의 정의
2. 공간 (스페이스) 마케팅의 특징
3. 브랜드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4. 부동산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5. 시사점 도출
공간 ( 스페이스 ) 마케팅의 정의
공간 (스페이스)
마케팅의 정의
기업은 항상 고객에게 어떻게 어필할 수 있을지 고민
고객과 만나는 시간을 단 1초도 빼앗기고 싶지 않은 마음
마케팅은 고객과 만나는 공간에서 시작, 기업은 공간에서 반드시 고객과의
접점을 형성해야 하고 그 공간은 바로 첫 만남의 공간이자 첫 인상을 남기는
뇌리의 중요한 랜드 마크
바로 그 공간, 소비자가 머무르고 이동하는 입체적 공간을 마케팅 하는
것이 공간(스페이스) 마케팅.
공간마케팅이란 특정장소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도록 기업과 주민,
관광객이 선호하는 이미지와 제도, 시설 등을 개발해 공간의 상품가치를
높이고 사람들을 끌어 들이는 것
대상 장소에 따라 도시마케팅, 지역마케팅, 장소마케팅 등으로 불림
이를 통해 지역사회 통합(integration), 장소 판촉(promotion)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문화 산업화(cultural industry)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표 달성 가능
공간 ( 스페이스 ) 마케팅의 특징
공간(스페이스)
마케팅의
특징 1
문화적 배경 또는 문화적 감성을 주요 대상으로 함
경험이나 체험 또는 이미지 등이 점차 중요해지며 현대인들은 정신적
여유를 제공받기를 원함.
단순한 공급이 아니라 정신적 가치까지 포함하는 공급의 질적 향상을 요구
공간 마케팅은 이미지라는 것과 관련 기업들은 자신들이 만들어 낸
문화적 공간을 통하여 브랜드의 이미지 향상.
예를 들어 오른쪽 사진은
프랑스의 루이비통 매장.
실제 저렇게 특이하게 매장
디자인을 하면서 건설비
또는 매장 안의 상품 진열
공간은 감소, 그러나 루이
비통에 대한 사람들의 이
미지는 훨씬 좋아짐
공간 ( 스페이스 ) 마케팅의 특징
공간(스페이스)
마케팅의
특징 2
또한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의 자
동차 매장도 이러한 예라 볼 수 있음
여기에 존재하는 자동차 매장들은
자동차는 진열보다는 자신의 이미지를
위한 인테리어에 더욱 초점
도시의 개념으로도 확장 가능
도시 개념에서의 공간 마케팅은
기존의 수많은 랜드마크가 그 예
어떤 장소에 위치한 건물의 이
미지나 특징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
장소 전체에 대해 기억하게 만듦
우리나라의 경우 신사동 가로수길
쁘띠 프랑스, 일산의 라페스타, 웨
스턴 돔 등이 그 예
공간 ( 스페이스 ) 마케팅의 특징
공간(스페이스)
마케팅의
특징 3
오늘날 에펠탑은 파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아이콘
뉴욕의 거대한 센트럴파크를 비롯해 광고판으로 뒤덮인 뉴욕 브로드웨이 거
리, 런던의 새로운 시청사 등이 이러한 예라 볼 수 있음
` 런던 시청사의 사진 `
실제
마케팅
접목 사례 1
오늘날 공간 마케팅을 사용하는 경우는 주로 브랜드에서 찾아 볼 수 있음
( 애플스토어 : 미국 애플 컴퓨터가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2003년
첫 선. 블랙과 화이트로 디자인 된 애플스토어는 음악, 사진, 영화,
키즈, 헬프데스크, 트레이닝 존 등 7개 구역으로 매장을 구성해 소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현재까지 미국, 영국, 일본 등에 110여개의 매장
이 있으며 매주 100만명 이상이 이 곳을 방문. 우리나라에도 현재 프리스
비라는 이름으로 들어와 있는데 가까운 건대 스타시티에도 프리스비 매장이
입점하여 있음. )
브랜드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브랜드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실제
마케팅
접목 사례 2
( 스타벅스 : 스타벅스 매장 또한 이러한 공간 마케팅을 통해서 자사의 브랜
드 가치를 높였다고 평가. 스타벅스를 찾는 소비자들은 일반 커피보다 2~30
00원 더 비싼 돈을 지불하면서도 공간이 주는 문화적인 충족감으로 이를 비
싸다고 인식하지 않는 것. 아래 사진은 중동 지역의 스타벅스 매장의 사진
으로 독특한 매장 공간구성으로 만족을 줌)
브랜드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실제
마케팅
접목 사례 3
( 폰앤펀 : LG 텔레콤의 ‘폰앤펀’ 매장의 사진으로 최신 휴대전화를
둘러보거나 휴대전화에 다운로드 받은 게임을 해보며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증가 시켜 준다. )
부동산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부동산
마케팅
접목 사례 1
공간 마케팅의 부동산에서의 적용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부분 모델
하우스
선분양 후시공 정책에 의해 1970년대 도입 된 우리나라의 모델하우스는
건축비전문가인 고객들에게 주택의 구조만을 보여줌. 이후 1990년대 중반
까지 주택 건설업체들은 일상적 형태와 내용으로 일관, 단지 경쟁 지역에서
좀 더 빨리 분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델하우스 외관에 대해 약간 신경
을 쓰는 정도. 게다가 주택 상품의 특성상 정책적으로 분양가가 제한 되었으
므로, 기업의 수익은 한정될 수 밖에 없었음.
그러나 외환위기 파고로 분양가가 자율화되며 주택 분양 시장은 완전히 탈
바꿈. 분양가 자율화는 주택 건설업체들에게 수익 확대에 대한 자율과 기회
를 의미. 노력 여하에 따라 엄청난 부가가치를 파생시킬 수 있게 된 것.
이러한 상황 변화는 건설업체로 하여금 치열한 판매 전략을 수립하게 만듦.
부동산 마케팅에의 접목 사례
부동산
마케팅
접목 사례 2
일원동 삼성 래미안 모델하우스는 실제 현재의 주거에 들어갈 첨단 가구가
아닌 앞으로의 미래형 가구에 대한 컨셉으로 꾸며짐. 이러한 래미안
모델하우스는 공간에 최첨단 가구들을 배치시켜 놓으며 분양 목적이 아닌
브랜드의 이미지를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
[문서정보]
문서분량 : 12 Page
파일종류 : PPT 파일
자료제목 : 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
파일이름 : 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ppt
키워드 : 공간마케팅,공간마케팅전략,스페이스마케팅,스페이스마케팅전략,브랜드마케팅
자료No(pk) : 1402271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