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음악발달사 Down ER
- fenda634d
- 2020년 12월 19일
- 1분 분량
광고음악발달사 Down
광고음악발달사
광고음악발달사에 대한 글입니다. 광고음악발달사
2. CM송 표현형식에 의한 분류
1) Straight Commecial
- 한사람의 성우나 아나운서가 메세지를 전달하는 형식으로 라디오광고에서 가장 대중적 형식.
2) Dramatized Commercial
- Commercial 전체를 짧은 라디오 드라마풍으로 한,두명의 탤런트에 의한 대화 형식.
3) Music Commercial
- 음악을 광고 전달자로 하는 형식.
① 기업 Song : 기업의 지명도를 높여 기업에의 친근감, 신뢰감을 높인다.
② 상품 Song : 상품명을 기억시켜, 상품의 매력을 노래하고 장점을 단적으로 호소하여 기억을 자극한다.
③ PR Song : 노래 그 자체를 유행시킴으로써 기업이나 상품의 이미지를 잠재적인 형으로 기억하게 한다.
3. CM송의 법적 규제 ( 1976년 7월~ )
소비자 운동 활성화 따라 광고계 자율규제 움직임 나타나 영화와 극장광고는 이미 사전심의제도가 시행되고 있었지만 방송광고는 이 때 까지만 해도 완전 자유방임이었다. 그러나 급속하게 성장한 경제발전에 힘입어 방송광고가 넘쳐나면서 과열경쟁은 지나친 상업성, 저속성, 과장, 허위 등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규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급기야 1976년 7월부터 방송윤리위원회에 의한 방송광고의 사전 심의제도가 도입되었다. 「주류 CM송 금지」,「어린이의 광고노래 금 지」,「약품 연호 금지」등 많은 규제가 뒤따르기 시작한 것이다. 그 이후는 유신체제 유지 를 위한 언론 통제 수단과 맞물려 규제가 심화되는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80년대 초에 광고에 대한 정부차원의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독점 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으며, 제5공화국 헌법은 소비자 보호운동 조항을 신설하고 소비자보호법과 시행령을 제정 공포함으로써 소비자 보호운동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21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광고음악발달사
파일이름 : 광고음악발달사.hwp
키워드 : 광고음악발달사
자료No(pk) : 1612595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