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가요계의 변화 레포트 RQ
- fenda634d
- 2020년 12월 7일
- 1분 분량
민중가요계의 변화 레포트
민중가요계의 변화
비로소 김민기는 대중가요가 아닌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김민기의 노래가 가지고 있던 특유의 장점은 바로 그것이 곧 민중가요의 중요한 자산이 될 근...
비로소 김민기는 대중가요가 아닌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김민기의 노래가 가지고 있던 특유의 장점은 바로 그것이 곧 민중가요의 중요한 자산이 될 근거가 되었다. 대중가요로서는 더이상 들을 수 없었던 그 노래들을 이제 민중가요로서 부르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사회성이 강한 노래들, 미래로의 지향과적극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는 노래들이 더욱 부각되었다. 또한 노래에 구체적인 사회적 의미가 부여되고 재해석 되었다. <친구>,<아침이슬>등. 학생운동하는 사람들의 고민과 결단 등으로 해석되었다. 김민기의 작품의 경향은 74년군입대와 제대, 야학의 체험, 유신말기 상황을 거치면서 변화한다. 또한 작품의 수가 거의 줄어들게 된다. 지식인적 자의식이 강하게 표출되는 작품이 거의 생산되지 않고 민중이라고 부를 수 있는 소외된 계층, 노동자, 농민에 대한 구체적 관심이 높아지고 그 발전된 형상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또 미래에대한 밝은 지향을 담은 노래가 늘어나고 국악풍의 실험도 늘어난다. <식구생각>,<소곰땀 흘리흘리>,<상록수>,,천리길>,<밤뱃놀이>,<늙은 군인의 노래> 그의 민중지향성의 최고 수준인 노래무용극 <공장의 불빛>(78)은 동일 방직사건에서 힌트를 얻어 만들었는데 이 작품은 민족극운동의 맥락에 있다. 마당극 운동에서 보자면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지만 민중가요에 있어서는 거의 파격적인 것이었다. 거의 모든 대사를 노래로 처리하는 록 뮤지컬과같은 작품이었다. 노동자의 삶과 투쟁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이에 따른 가사와 악곡의 사용도 파격적이고 다양하다. 그러나 역시 투쟁장면의 형상화보다는 개인적인 장면에 많은 할애가 되어있고 형상화도 잘 되어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민중가요계의 변화
파일이름 : 민중가요계의 변화.hwp
키워드 : 민중가요계의,변화
자료No(pk) : 16016945
Comments